한글

설겆이, 설거지, 설것이 맞는 맞춤법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우리에게 한국어는 너무나도 자연스럽지만, 가끔은 맞춤법이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일상에서 자주 사용하지만 종종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설겆이, 설거지, 설것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설겆이’, ‘설거지’, ‘설것이’ 등 여러 가지 단어를 떠올리곤 하는데, 과연 올바른 표현은 무엇일까요?  우선 ‘설것이’는 발음을 보면, 설,거,시 처럼 읽게 됩니다. 탈락입니다. 그렇다면 ‘설겆이’와 ‘설거지’ 중 어느 것이 올바를까요?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설거지’가 표준어로 인정되며 정확한 표현입니다. ‘설겆이’는 많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은 표준어가 아닙니다.따라서 문서 작성이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설거지’라고 쓰는 것이 맞습니다. 맞춤법은 때로는 복잡하고 어..

일상블로깅 2025.02.04

전을 붙이다 부치다 붖히다 붓히다 맞는 표현은?

한국 고유의 명절에 꼭 하는 요리가 있다면 바로 '전'입니다.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프로그램에서도 알베르토가 '전' 예찬을 하는 장면도 있습니다. 외국인에게도 사랑 받는 전, 명절때는 음식을 만드느라 한차례 전쟁을 치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기름에 전을 넣고 요리하는 경우, 맞는 표현은 어떤 것일까요? 바로 '전을 부치다'입니다. 왜 헷갈리는 걸까요?왜냐하면, 한국어는 표음어입니다. 즉, 뜻과 상관없이 소리나는 대로 적기 때문에 유사한 소리가 나면 단어가 헷갈리기도 하는데요. 그렇다면 해결 방법은 뭘까요?사실! 뚫어지게 쳐다보고 자주 쳐다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맞춤법을 고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단어를 많이 접하는 겁니다.자 그럼 아래 문장을 머리속에 새겨보세요.전을 부치다. 자 이제 '전을 부치..

일상블로깅 2024.09.22

굳이 궂이 구지 맞춤법 어떤 것이 맞을까요?

굳이/궂이/구지 알아두어야할 표현이 있습니다. 바로 굳이/궂이/구지라는 표현인데요, 과연 어느 것이 맞을까요?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하면 혼돈이 없을까요? 바로 외우는 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맞춤법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그만큼 자주 접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자주 보다보면 어색한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이게 됩니다. 그럼, 각 단어를 하나씩 알아볼까요? 구지 이 단어는 굳이를 그대로 발음하다보니, 나온 단어로 이렇게 사용되는 곳은 없습니다. 잘못된 단어입니다. 궂이 이 표현도 표준어에는 없는 표현입니다. 날씨가 흐릴 때, 궂은 날씨라는 표현으로 '궂은'은 있지만, 궂이 라는 단어는 보기 힘든 단어입니다. 전라남도 방언으로 궂이하다는 뜻은 '싫어하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날씨가 안좋아는 느낌과 유..

일상블로깅 2024.03.18

돼다, 되다, 된다, 됀다, 돼어간다, 되어간다 맞춤법

오늘은 한국인도 실수하기 쉬운 되, 돼에 대한 맞춤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발음상 같지만 표기상 다른 문자에 대해서 혼돈이 있기 쉬운데요. 맞춤법 문제 먼저 아래 예제를 보면서 살펴보겠습니다. 어떤 것이 맞을까요? 시간이 다 됐다. 시간이 다 됬다. 그렇게 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됀다. 밥이 거의 다 돼어간다. 밥이 거의 다 되어간다. 맞춤법을 조금 틀린다고 큰일이 나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여러분이 연인이라면 카톡에서 철자법 틀리면.. 어떤가요? 콩깍지 씌웠을 때는 틀린 것도 귀엽지만, 다투고 난 후나, 약간 서운할때, 맞춤법 틀린 것 보면 뭐야.. 라는 생각이 들죠? 직장 생활에서도 승진 점수 완전 동점인 경우, 누구에게 더 손을 들어 줄까요? 승진이 아니라면, 업무 평가나 연봉 협상시, 평소에 맞춤법..

일상블로깅 2023.07.28

결재와 결제 뜻, 바른 맞춤법

결재와 결제의 경우 음성학적으로 사실은 다른 발음입니다. 그런데 우리 일상에는 크게 차이를 두지 않습니다. 사실 ㅔ와 ㅐ의 발음을 구별하는 것은 한국인에게도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결재와 결제를 혼돈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제대로 발음하는 법과 뜻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결재와 결제 바르게 발음하기 먼저는 ㅐ와 ㅔ를 구별해야 되는데요. 애는 입이 조금 더 벌어지게 발음하면 됩니다. 에의 경우는 입이 오므라지는 정도로 이해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사실 현재에 와서는 그 발음을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나 ㅐ와 ㅔ는 다른 단어이기때문에 표기까지 합쳐 버리는 것은 바르지 않습니다. 혀의 위치로 보면, ㅐ가 조금 더 뒤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

일상블로깅 2023.05.26
반응형